육아휴직급여계산 사례 모음
안녕하세요! 돈되는블로그의 복지 편입니다. 오늘은 육아휴직급여계산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맞벌이를 하거나, 어린 아이가 있지만 일을 해야하는 상황일 때에는 정부에서 제공하는 육아휴직 급여를 적극 활용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사실, 그렇게 큰 금액을 지원받는 건 아니지만 생활을 하는데 있어서 어느정도 도움은 된다고 생각하는데요! 육아휴직급여계산 사례들을 소개해드리면서, 어떻게 계산법 도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육아휴직은 초등학생 2학년 이내, 또는 만 8살 미만의 내 자녀가 있을 때 신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맞벌이를 하는 경우 또는 두분 다 직장을 다니는 경우에는 순차적으로도 신청을 하실 수 있는데요!
내 아이가 몇명이냐에 따라서 육아휴직을 사용할 수 있는 기간도 늘어납니다. 일반적으로 자녀 1명당 1년을 제공해주는데, 2명일 경우에는 2년 , 3명은 3년 이런식으로 점점 늘어나죠 또한, 어머니 뿐만 아니라 아버지도 육아휴직을 사용할 수 있는 권리도 있습니다
육아휴직 지급액 은 2015년 7월 1일 이후에 신청을 하셨을 경우에는 100분의 25 정도를 받으실 수 있는데 이 부분은 오래된 부분이니 최신 지급액은 100분의 40 정도를 육아휴직급여로 제공을 합니다. 하지만, 추가로 직장에서도 지원금을 받으실 수 있구요!
육아휴직 지급액 은 직장에 복귀를 하고나서 6개월 후에 일시불로 받으실 수 있는데요! 신청방법이나, 제출서류는 그렇게 복잡하지 않으니 고용보험 공식홈페이지를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우선, 육아휴직급여계산 사례 를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기본급만 제공을 하느냐, 성과급도 포함을 해서 계산을 하느냐에 대한 의견이 많은데요! 답은, 회사측에 따라서 다르다고 합니다. 기본급을 기준으로 지급을 해주는 회사도 있고, 성과급도 포함을 해주는 회사도 있는데요!
우선, 기본급을 가정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내 월급이 185만원인데, 육아휴직급여 를 신청했다! 하면 우선 기본급에서 40%를 공제한 금액에서 25%를 추가로 뺀 금액이 최종 월별로 받으실 육아휴직급여 입니다
즉 185만원에서 40%를 빼면 74만원이 나오는데요! 여기에서 또 25%를 공제를 하면 55만 5천원 정도가 나오게 됩니다. 즉, 매월 56만원 가량을 받으실 수 있는거죠! 육아휴직 같은 경우에는 신청을 한 후 다음 달부터 정식신청을 하실 수 있는데요!
단, 25%에 해당되는 금액은 복귀 후 일시불로 지급이 되니 여건이 되신다면 꼭! 회사로 돌아가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급여가 135만원 이라고 가정을 했을 떄, 135만원의 40%인 54만원에 25%를 공제를 하면 40만 5천원 정도가 나오는데, 이 부분은 50만원 미만이기 때문에 최소 금액인 50만원을 매달 받을 수 있게 됩니다
상한액은 월 100만원 하한액은 월 50만원 이라고 고용보험 공식홈페이지에 명시가 되어있습니다. 다시 돌아가서, 월 급여 135만원에 대해 매월 50만원을 받게 되고, 육아휴직사후지원금 즉 6개월 근무 후 일시금으로 받는 금액은 4만원 * 12 해서 48만원 가량을 받게 됩니다
여기까지 육아휴직급여계산 사례 와 방법 그리고 정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육아휴직이 끝난 후 6개월 동안 일을 하고나서 받을 수 있는 육아휴직사후지원금 은 12개월 이내에 신청을 하지 않을 경우에 받을 수 없다고 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라면서, 건강한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댓글